웹툰, 미디어 산업의 최대 수혜주 '디앤씨미디어', '스튜디오 드래곤'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웹툰, 미디어 산업의 최대 수혜주 '디앤씨미디어', '스튜디오 드래곤'

by Good habits 2021. 1. 5.
728x90

요새 웹툰과 컴퓨터와 모바일로 보는 미디어로 여가 시간을 보내다보니

이 컨텐츠들을 만들어내는 회사에 관심이 생겼다.

현재 이 분야를 이끌고 있는 회사는 두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웹툰은 '디앤씨미디어', 미디어 산업은 '스튜디오 드래곤'이다.

 

스튜디오 드래곤은 몇 번 들어서 알고 있는 회사였지만 

디앤씨미디어는 이 번에 조사하면서 처음 알게 되었고 현재 매출이 가파르게 급성장 되었다는 걸 알게 되었다.

 

@unsplash

> 디앤씨미디어는

- 로맨스, 판타지, 무협, 라이트노벨 등 다양한 장르소설과 만화 콘텐츠 제작

- 2017년 카카오페이지의 투자를 유치해 동반성장 관계 구축

- 카카오 페이지의 해외 웹툰 시장 개척을 계기로 해외시장 수요가 형성 -> 디앤씨미디어도 수출 기업으로 진화

- 2019년 기준 디앤씨미디어의 계약작가수 - 629명, 작품수 - 1천258개로 업계 최대 규모

- 연간 8~10편의 신규 웹툰 론칭

- 2대주주 겸 최대 협력사인 카카오페이지 올해 주식 상장 기대 -> 협력 웹툰기업들의 주가 재평가 가능성 높음

- 네이버와 카카오 컨텐츠 플랫폼 매출이 해외에서 폭증 -> 디앤씨 미디어가 신작 웹툰을 낼 때 작품당 매출 수직상승을 기대 가능

- '파피루스' 웹소설 플랫폼 보유

- 주가 상승을 이끈 것은 해외 매출

- 지난해 수출에서 나오는 매출이 35%를 넘어섬 - 주요 고객사인 픽코마(카카오 일본 웹툰 플랫폼)의 매출이 급증했기 때문

- 북미의 웹툰 플랫폼인 태피툰에 17작품, 타파스미디어에 7작품을 연재 중

- 다수의 작품에서 꾸준히 매출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 포트폴리오로 안정적

> 스튜디오드래곤은

- 넷플릭스 '스위트홈'의 전세계적 흥행으로 제작사 '스튜디오 드래곤'의 콘텐츠 제작 능력과 해외 판매처 다변화에 대한 기대증가
- 우수한 컨텐츠 제작 능력에 대한 입증

- 스튜디오 드래곤이 작년에 제작한 드라마는 총 28편으로 이중 5편은 웹툰 기반의 드라마

- 스튜디오드래곤이넷플릭스와의 연대를 강화하면서 CJ그룹 의존도를 낮추고 있음

- 다양한 OTT 플랫폼과 공중파 공략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

- 종속기업: 화앤담픽쳐스·문화창고·케이피제이·지티스트과의 거래를 통해서도 매출 증대(하지만 연매출에 1% 밖에 영향을 못 미침)

- 대표작품: 여신강림, 비밀의 숲, 사랑의 불시착, 호텔 델루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