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드플레이션이란? 물가 인상의 배후......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그리드플레이션이란? 물가 인상의 배후......

by 오늘하루행복하게 2023. 11. 21.
728x90

'그리드플레이션'이 물가 상승의 주범인가?

물가 인상의 배후에 그리드플레이션 현상이 떠오르다

 

세계 주요국에서는 물가 인상의 주범으로 그리드플레이션을 지목하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론도 나오며, 공급망 변화와 노동비용 증가가 실제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 주요국의 관심: 미국, 영국, 유로존 등이 인플레이션의 주범으로 그리드플레이션을 지목하며 조명.
  • 그리드플레이션 현상: 기업들이 물가 상승에 핑계를 대고 과도한 가격 인상을 통해 이익을 추구한다는 주장.
  • 물가 상승 논쟁: 올해 식품 원자재 값 하락에도 불구하고 음식 기업들이 가격을 인하하지 않아 물가상승 논란 확산.
  • IMF의 견해: 유럽 인플레이션의 45%가 기업 이윤 추구로 발생했다는 근거 제시.
  • 반론과 현실: 일부는 그리드플레이션이 물가상승에 큰 역할을 하지 않으며, 공급망 변화와 노동비용 상승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

#그리드플레이션 #그리드플레이션뜻 #슈링크플레이션 #Greedflation #슈링크플레이션 #플레이션


* 그리드플레이션 논쟁 촉발
    * 영국과 유로존에서 그리드플레이션에 대한 논쟁 재점화.
    * 식료품 기업들이 높은 원자재 값에도 불구하고 물가를 낮추지 않고 이익을 추구한 것에 대한 지적.

 


* 그리드플레이션 - 물가상승의 구조적 요인
    * IMF는 지난해 유럽 인플레이션의 45%는 기업 이윤 추구 때문에 발생했다고 분석.
    * 국제적인 충격에도 물가 상승이 계속되면서 기업들의 가격 인상에 대한 우려.

 


* 그리드플레이션 - 기업 이윤과 가격 상승의 상관관계
    * 기업 이윤이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는 반론.
    * 코로나와 러·우 전쟁 등으로 인한 공급망 변화와 노동시장 타이트화로 인한 생산비용 상승이 큰 영향을 끼침.


* 그리드플레이션 - 두 가지 주장의 통합
    * 그리드플레이션과 구조적 요인은 현재의 물가 상승을 설명하는 두 가지 요인으로 함께 작용.
    * 구조적인 수요-공급 불일치와 독점적 기업들의 가격 조작이 물가 상승에 기여하고 있음.

 


* 그리드플레이션 - 한국의 상황
    * 현재 한국은 공급망 차질과 전쟁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어 그리드플레이션 논의에서 비교적 면제.
    * 한국은행은 수입물가의 상승이 물가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가능성을 언급.

728x90